컴퓨터 윈도우에서 간편하게 계정 변경 방법! (로컬 계정 ↔ 마이크로소프트 계
정)
이 글에서는 윈도우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계정을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10과 윈도우 11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버전에 상관없이 안심하고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계정 전환 vs. 계정 변경
계정 전환과 계정 변경은 비슷한 용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 계정 전환: 이미 만들어져 있는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여러 계정을 한 컴퓨터에서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는 기능입니다.
- 계정 변경: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계정의 종류 자체를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로컬 계정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변경하거나, 반대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것이 해당됩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계정 변경 방법에 대해서만 알아볼 예정이며, 계정 전환은 간단하게 시작 메뉴에서 사용자 아이콘을 클릭하고 원하는 계정을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 설명을 드리지 않습니다.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계정 변경을 하기 전에,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차이점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 로컬 계정: 해당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계정입니다. 인터넷 연결 없이도 생성 및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디바이스와 정보를 동기화하지 않습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약간 취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온라인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만드는 계정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OneDrive, Office 365 등)와 연동됩니다. 여러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으며, 보안 역시 상대적으로 강력합니다.
따라서 보통 개인 사용자의 경우 편의성과 보안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를 오프라인 환경에서만 사용하거나, 보안상의 이유로 로컬 계정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로컬 계정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로컬 계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변경하는 방법
- 윈도우 설정 열기:
키보드 상단의 윈도우 로고 키와 "i" 키를 동시에 누르면 "윈도우 설정" 창이 열립니다. - 계정 설정으로 이동:
"윈도우 설정" 창에서 "계정" 항목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정보 클릭:
왼쪽 메뉴에서 "사용자 정보"를 클릭합니다. -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클릭:
계정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계정 설정" 항목을 찾아 클릭합니다.
그 다음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로컬 계정 비밀번호 입력:
계정 변경을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정보 입력: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변경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새로 설정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필요한 경우 보안 질문을 설정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로컬 계정 정보 확인:
마지막으로 변경 내용을 확인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문제가 없으면 "로그아웃하고 마침"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을 완료합니다.
###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 노트북에 윈도우 깔끔하게 설치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4.04.02 |
---|---|
윈도우 설치된 파티션 간편하게 합치기 - 더 넓은 저장 공간 확보 (1) | 2024.04.02 |
소중한 파일 사라졌어요? 윈도우 바탕화면 파일 복구 방법 가이드! (0) | 2024.04.02 |
윈도우 무비 메이커 다운 받기: 과거의 추억을 되살리자! (0) | 2024.03.30 |
중요한 파일을 지우ちゃった? 윈도우 휴지통 복구 방법 가이드 (0) | 2024.03.30 |